초고령 사회
패러다임 전환 리포트

scroll

대한민국 65세 이상 인구 비율
자료=통계청
등록 장애인 중 65세 이상 비중
자료=보건복지부
장애 발생 원인
자료=한국장애인개발원
대한민국
65세 이상 인구 비율
자료=통계청

2024년 12월 23일,
대한민국은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고령 인구 증가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빠릅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2040년이면 65세 이상이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40%까지 치솟을 것으로 보입니다.

등록 장애인 중
65세 이상 비중
자료=보건복지부

취재팀은 고령 장애인 비중이 더 가파르게 늘고 있다는 통계에 주목했습니다. 고령 인구 증가로 등록 장애인65세 이상 비중은 2020년 49.9%에서 2023년 53.9%로 늘어나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숫자가 말하는 것은 분명합니다. 우리 가족과 이웃 중에서도 노인성 질환, 노화, 사고 등으로 복합 장애를 겪는 경우가 흔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제 장애는 특별한 것이 아니라 나이가 들면 누구나 마주할 수 있는 삶의 일부가 되고 있습니다.

장애 발생 원인
자료=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장애인개발원에 따르면, 장애 발생은 후천적 원인88.1%로 압도적이었습니다. ‘후천적 질환’이 58.1%, ‘후천적 사고’가 29.9%를 차지합니다.

고령 장애인의 현실은 다가올 초고령 사회 예고편이자, 우리 사회 복지 정책 패러다임의 과감한 전환을 촉구하는 강력한 신호입니다.